
달성의 다양한 음식점 및 별미음식을 소개합니다.
식품안전정보
> 식품안전정보
| 제목 | 식약처, 수경재배 채소류 중금속 안전수준 점검 | 글쓴이 | 관리자 |
|---|---|---|---|
| 등록일 | 2019-02-15 | 조회수 | 28 |
|
□ 식품의약품안전처(처장 류영진)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대형마트나 온라인 등 시중에 유통?판매되고 있는 수경재배 채소류의 중금속 오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. * 수경재배: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영양분(배양액)으로 재배하는 방식 ○ 이번 발표는 중금속이 물에 녹는 특성이 있는 만큼 수경재배 채소류에 중금속이 축적되어 오염도가 높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어 상추?치커리?무순 등 수경재배 쌈채소 5종과 새싹채소 16종을 대상으로 중금속 오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입니다. * 쌈채소(5종): 상추?치커리?겨자?근대?로메인 * 새싹채소(16종): 브로콜리?무?유채?콜라비?알팔파?배추?청경채?비트?치커리?클로버?비타민(다채)?경수채?양배추?아마란스?로메인?열무 □ 조사 결과 수경재배 쌈채소와 토양재배(밭재배) 쌈채소 모두 중금속 검출량은 기준치 이내로 안전한 수준이었으며, 수경재배와 밭재배 쌈채소 중금속 검출 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. ○ 수경재배 쌈채소 중금속 검출량은 납 0.002~0.074ppm, 카드뮴 0.001~0.014ppm, 무기비소 불검출~0.010ppm의 범위 안에 있었으며, - 밭재배 쌈채소는 납 불검출~0.031ppm, 카드뮴 불검출~0.047 ppm, 무기비소는 불검출~0.015 ppm의 범위 안에 있었습니다. * 엽경채류(잎, 꽃, 잎줄기를 식용하는 채소) 중금속 기준: 납 0.1 ppm, 카드뮴 0.05 ppm ○ 샐러드 등으로 즐겨 먹는 수경재배 새싹채소는 납 불검출~0.017ppm, 카드뮴 불검출~0.013ppm, 무기비소 불검출~0.020ppm의 범위 안에 있어 모두 안전한 수준이었습니다. ○ 수경재배 채소류에 중금속이 많이 축적될 것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된 것은 생육기간이 짧고(50일 전후) 물과 배양액만으로 재배하는 특성 등으로 실제 작물에 이행되는 중금속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. * 수경재배 배양액 중 납 0.012 ppm, 카드뮴 0.015 ppm, 무기비소 0.001 ppm 수준 □ 안전평가원은 시중에 앞으로도 중금속 등 유해 오염물질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. |
|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