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달성의 다양한 음식점 및 별미음식을 소개합니다.
식품안전정보
> 식품안전정보
| 제목 | 건강한 신중년, 식사관리부터 시작하세요 | 글쓴이 | 관리자 |
|---|---|---|---|
| 등록일 | 2021-03-05 | 조회수 | 31 |
|
□ 식품의약품안전처(처장 김강립)는 신체적?정서적 큰 변화를 겪는신중년*(50~64세)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, 뼈?근육 강화 등을 위한 맞춤형 식사관리 안내서를 제작?배포한다고 밝혔습니다. * 신체, 사회, 가족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게 되는 50~64세 사이로 새롭고 건강한 삶을 지향하는 세대로 정의 ○ 이번 안내서는 신중년의 건강한 삶을 위한 식생활 수칙과 영양균형을 위한 식사 가이드 등을 제공하고 건강메뉴 31선과 건강밥상 7선의 식재료, 조리방법, 영양성분 등 활용방법이 수록되었습니다. * 제7기(`16~`18)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영양소 섭취량 분석 ○ 또한, 보건소 및 지역사회 건강 관리자를 위한 최신 전문 영양정보를 담은 건강관리자용 가이드도 별도 제작하여 전국 보건소 및 건강검진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 □ 신중년의 건강상태는 신체?정서?사회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이 시기의 관리는 노년기의 신체와 심리, 인지능력 등의 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건강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. <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식사 가이드> ○ 최근 한국인 건강상태 분석에 따르면 신중년기에 높은 유병율을 보이는 만성질환은 고혈압>비만>이상지질혈증>당뇨병 순이며, 기대수명(83세)까지 생존할 경우 암 발생율이 37.4%*로 나타나 만성질환 및 암 예방 등을 위한 식생활 관리의 중요한 시기입니다. * 출처 : 국가암정보센터, 2018 ○ (고혈압)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허리둘레(남자 35.4인치?여자33.4인치 미만) 등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고, 특히 싱겁게 먹는 것을 습관화하여 나트륨 섭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 - 고령자?비만자?당뇨병 또는 고혈압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적극적인 저염식으로 식사할 때 혈압을 더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. ○ (이상지질혈증) 이상지질혈증은 비만?과체중과 관련이 있으므로 에너지 섭취와 운동을 병행하고, 통곡물?채소류?생선류가 풍부한 식사 패턴을 유지합니다. - 지방을 하루 섭취 열량의 30% 이내(66.6g, 2,000kcal 기준)로 과잉 섭취하지 않도록 하고, 닭껍질?버터?마가린 등 포화지방이 높은 음식은 자제하며, 올리브유?들기름?등푸른 생선 등 불포화 지방산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도록 합니다. ○ (당뇨병) 당뇨병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단백질 식품과 채소를 골고루 포함하여 1일 3회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등 무기질 섭취를 위해 유제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. - 간식으로는 주스보다는 적당량(사과 반쪽 100g)의 생과일을 하루 1~2회만 섭취하시고, 군것질이나 음주를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. <뼈 및 근육 건강을 위한 식사가이드> ○ 신중년의 골다공증은 22.4%, 골감소증은 47.9%로 매우 높고 특히 여성의 골밀도 상태는 매우 취약하여 지금부터라도 골격건강상태 개선을 위한 적절한 신체활동과 도움이 되는 영양소 섭취를 강화하는 습관유지가 요구됩니다. |
|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