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바로가기



달성의 숨은 맛집을 찾아서.. 달성의 맛있고 다양한 음식접 및 별미음식들을 참맛달성 홈페이지에서 한눈에 만나보실수 있습니다.

식품안전정보

달성의 다양한 음식점 및 별미음식을 소개합니다.

홈이미지 식품안전정보 > 식품안전정보

식품안전정보 글 보기
제목 비스페놀류 등 체내 노출 낮은 수준, 위해우려 없어 글쓴이 관리자
등록일 2020-04-10 조회수 31

□ 식품의약품안전처(처장 이의경)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일상생활 속 다양한 경로로 인체에 노출되는 비스페놀류(3종), 파라벤류(4종), 프탈레이트류(7종) 등 화학물질 총 14종*에 대해 통합위해성평가를 실시한 결과, 우리국민의 체내 총 노출량은 위해우려가 없는 수준인 것으로 평가했습니다.


    * 비스페놀류 3종(BPA,BPF,BPS), 파라벤류 4종(메틸파라벤,에틸파라벤,프로필파라벤,부틸파라벤), 프탈레이트류 7종(DEHP,DBP,BBP,DEP,DNOP,DIDP,DINP)


 ○ 이번에 실시한 통합위해성평가는 기존의 단편적인 ‘제품 중심’의 노출평가와 달리 먹고·바르고·마시는 등 일상생활을 통한 노출경로를 모두 고려하는 ‘사람 중심’의 평가로서,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위해성 평가라는데 의미가 있습니다.


□ 평가대상은 ▲통조림 내부 코팅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비스페놀류 ▲플라스틱 가소제로 사용되는 프탈레이트류 ▲식품·화장품 등의 보존제로 사용되고 있는 파라벤류 등 화학물질 14종*을 우선 선정했으며,


    * 동물에게는 생식발생독성, 내분비계교란 등의 위험성이 있다고 알려진 물질

    - 향후 중금속, 다이옥신류,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등 위해우려가 높은 물질에 대해서도 단계적으로 실시할 계획입니다.


 ○ 평가방법은 식품, 화장품, 위생용품, 공산품, 생활화학제품 및 환경요인 등 다양한 노출원과 노출경로를 분석하여 물질별 체내 총 노출 수준을 산출하고, 이를 물질별 인체노출 안전기준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.


<체내 총 노출량에 대한 평가결과 >

 ○ 체내 총 노출량은 모든 연령대에서 비스페놀류(3종)는 0.01∼0.05㎍/kg bw/day, 프탈레이트류(7종)는 14.23∼27.23 ㎍/kg bw/day, 파라벤류(4종)는 11.7∼23.2 ㎍/kg bw/day 정도로 조사되었으며,

    * ㎍/kg bw/day: 체중 당 일일노출량

  - 노출량은 인체노출안전기준* 대비 비스페놀류 0.05~0.25%, 프탈레이트류 2.3~8.5%, 파라벤류 0.12~0.23%로 안전한 수준이었습니다.

    * 인체노출안전기준: 대표물질 비스페놀A 20 ㎍/kg bw/day,  DEHP 40 ㎍/kg bw/day, 메틸 및 에틸파라벤 10 mg/kg bw/day 기준으로 평가


 ○ 체내 노출량의 변화 추이는 비스페놀A와 DEHP, DBP, BBP 등 프탈레이트류 3종의 경우 모든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

  - 특히 어린이(3~12세)의 체내 노출 수준*은 비스페놀A와 DEHP, BBP는 각각 60%, DBP는 40% 정도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습니다.

    * ‘10~’12년과 ‘15~’17년의 체내 노출수준 비교 결과

  - 이는 식품용 기구 및 용기?포장, 유아·아동용 제품, 화장품 등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인체적용제품군에 대해 프탈레이트류 등의 기준·규격을 엄격히 관리해 노출원을 줄여나간 결과로 해석됩니다.

 

 <주요 노출원 및 노출경로 >

 ○ 비스페놀A는 비스페놀류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물질로 식품(캔, 포장식품 등)을 통해 주로 노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, 그 외에도 감열지(영수증), 접착제, 집먼지 등도 노출원인으로 파악되었습니다.

  - 참고로, 비스페놀A는 민감 계층인 영유아가 사용하는 기구 및 용기?포장(젖병 등)과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없도록 엄격히 관리하고 있습니다.


 ○ 플라스틱을 만들 때 가소제로 사용되는 프탈레이트류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품, 화장품, 장난감 등 다양한 제품과 집먼지 등을 통해 노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,

    * 프탈레이트류는 플라스틱 등 제품에서 쉽게 유리되는 특성으로 집먼지 등 실내 환경을 통해서도 노출

  - 제품을 손으로 만지거나 물건을 입에 넣고 빠는 행동, 플라스틱용기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는 행동 등 제품 사용방법·생활습관 등에 따라 노출량의 차이를 보였습니다.

  - 따라서 전자레인지 전용 용기를 사용하거나, 집먼지 제거를 위해 실내 환기나 청소 등을 습관화 하는 것이 프탈레이트류의 노출을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


 ○ 파라벤류는 식품, 화장품의 보존제로 사용되는 물질로, 에틸파라벤은 식품을 통해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은 화장품을 통해 주로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


□ 식약처는 이번 평가를 통해 비스페놀류 등 총 14종의 체내 노출량은 위해우려가 없는 수준으로 확인했으나, 물질별로 노출원인과 경로가 다양한 만큼 노출원은 최대한 줄여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 ○ 앞으로도 주요 노출원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체내 노출수준의 변화와 그에 따른 건강영향을 평가하는 한편, 관련 부처*와 협력하여 노출원 정보를 공유하고 주요 노출경로를 정확히 파악하여 우리국민에게 많이 노출되는 제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예정입니다.

    * 식품, 기구 및 용기?포장(식약처), 어린이용품(산업통상자원부), 집먼지·음용수 등 생활환경 및 인체바이오모니터링(환경부)

 ○ 자세한 내용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홈페이지(www.nifds.go.kr>정보마당>간행물·자료집)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List

오늘본맛집

위로

아래로

TOP